김치에 핀 하얀 곰팡이의 정체는?
김치에 핀 하얀 곰팡이는 뭘까요? 먹어도 될까요? 얼마 전 김치냉장고에서 오래된 김치를 꺼내어 먹으려고 봤는데 아니 하얀 곰팡이가 엄청 생겼습니다. 그래서 이거 먹으면 죽는 게 아닌가 하고 검색을 해보니 아래의 내용이 있어 함께 공유드리기 위해 글을 작성해 봤습니다. 과연 김치를 버려야 할까요? 아니면 그냥 먹어도 될까요?
목차
1.김치의 하얀 곰팡이 정체
2. 골마지란?
3. 먹어도 될까?
4. 골마지 방지법

1. 김치의 하얀 곰팡이 정체
김치에 생겨서 저처럼 찝찝한 기분이 들게 하는 이 하얀 곰팡이는 골마지라고 합니다.
세계김치연구소에서 골마지를 분석한 논문이 2018년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마이크로 바이올로지에 게재되었습니다.
김치에 살고 있는 효모가 산소가 반응해 생기는 것으로 김치뿐만 아니라 간장 술 고추장 등 물기가 있는 발효성 식품 중 공기와 접촉되는 부분에 하얀 막처럼 생성되는데요.
접촉되면서 유산균의 활동이 줄어들고 혐오에 의해 골마지가 나타나는 것 입니다.
2. 골마지란?
곰팡이로 오해받는 김치 표면의 흰색막의 정체는 골마지입니다. 이는 효모에 의해 생기며 골마지를 유발하는 효모에는 독성 유전자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3. 먹어도 될까?
세포와 동물을 이용한 독성 실험과 유전체 분석에서 특별한 독성 반응과 유전자가 없다고 밝혀냈습니다.
그래서 골마지가 있어도 물로 살짝 씻어내고 가열해서 먹으면 얼마든지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생으로 그대로 먹는 것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세히 봤는데 하얀 곰팡이가 아니라 푸른곰팡이라면 그것은 골맞이가 아니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4. 골마지 방지법
골마지는 산소와 반응하는 효모에 생성되기 때문에 김치 표면을 위생비닐로 덮거나 국물이 잠기게 해서 공기노출을 차단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온도를 4도 이하에서 저장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오늘은 김치에서 가끔 발결되는 하얀 곰팡이 아니 골마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먹을 수는 있다고 하지만 그래도 골마지가 생기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더 좋겠죠? 그리고 반드시 씻어서 드셔야 하고 가열해서 드셔야 안전하다고 하니 그냥 생으로 드시는 실험쥐 같은 행동은 절대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 발생 원인과 해결방법 #두통이란? 두통이 잦을때 의심 해야 하는병 (0) | 2023.01.27 |
---|---|
소변(오줌)이 자주 마려운 이유와 해결방법 #요실금, 방광염? (0) | 2023.01.27 |
하버드대가 찾은 행복의 비밀은? #행복한 삶 사는법 (0) | 2023.01.25 |
입문자용 가성비 자전거 추천 #하이브리드,MTB, 접이식, 바구니 자전거 (0) | 2023.01.17 |
암에 좋은 음식 #암에 좋은 항암식품 (0) | 2023.01.16 |
댓글